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동물찾아요 긴급보호 봉사&후원 찾았어요 무료분양 유기동물무료입양
  유기동물 무료분양합니다.  
  Home > 애견지식정보 > 애견교육방법  
   
 

반려동물 잃고 슬펐던 기간?
1개월
6개월
1년간
3년간
평생
결과보기

제 목

씹는 습관 고치기1 (가족이 있을 때..)

개가 실내에서 물건을 씹는 문제 행동은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가족이 있을 때 씹는 형태이고, 두 번째는 가족이 없을 때 홀로 집을 지키며 씹어대는 형태입니다. 이 두 가지 타입은 각기 다른 동기에 의해 유발됩니다.
가족이 있을 때의 문제 행동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수렵 본능에 기인한 것으로 게임으로의 성격이 강하며 비교적 동기가 단순합니다.
이에 비해 가족이 없을 때 씹어대는 문제행동은 '분리 불안'이라는 무리와 떨어진 것에 따른 불안에 의한 스트레스에 기인한 것입니다.

개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던 동물로 단독 행동에 서툰 편입니다.
텅 빈 집안에 홀로 남겨지면 불안을 느끼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파괴행동으로 물건을 씹거나 흐트러뜨리는 등의 형태를 취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이든 이러한 습관을 없애기 위한 공통적 포인트는 개에게 직접 제재를 가하기 보다
무관심을 가장한 우회적인 방법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문제 행동을 발견했을 때 직접 야단을 치거나 체벌을 가하면 사람이 자신의 행동에 반응을 보인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많습니다. 개는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 행동이 버릇으로 고착화되는 것은 사람이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크게 좌우되는 것입니다.



가족이 있을 때의 씹는 습관

실내에서 개가 물건을 씹고 있으면 야단을 치면서 씹고 있던 것을 빼앗거나 체벌을 가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개는 자신이 나쁜 짓을 했다거나 야단을 맞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사람이 반응을 보였다.' 혹은 '내게 관심을 가졌다'라고 기억해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일종의 게임으로 학습하고 이를 반복, 나중에는 일부러 물건을 씹는 습관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행동을 수정하려면 직접적인 방법보다 간접적으로 개에게 불쾌한 체험을 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씹고 있는 가구를 움직여 이상한 소리를 내면 개는 그 소리에 깜짝 놀라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런 종류의 간접적인 자극을 반복해 경험함에 따라 개는 씹는 것을 불쾌한 일로 기억하게 돼 더 이상 씹지 않게 됩니다. 이 때의 주안점은 절대 개를 쳐다보지 말 것입니다.

-가구를 씹는 것을 발견할 경우 못 본척하고 가구를 움직인다.

가구를 씹거나 올라가서는 안될 의자나 테이블 위에 올라갔을 때에는 이름을 불러 야단을 치거나 때려서는 안됩니다.
개가 씹거나 장난을 치고 있는 가구가 개의 몸집보다 크고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을 움직여 기우뚱하게 만들거나 개의 몸이 가구에서 떨어지게 만듭니다.
이 경험에 따른 개의 불쾌감은 가구에 대한 자신의 행동과 함께 기억돼 장난 그 자체를 그만두게 되는 것입니다. 테이블이나 의자의 다리를 씹을 때는 그 다리에 끈을 매 두었다가 씹을 때 몰래 잡아당깁니다.
이때, 개의 모습이 보일 정도의 거리를 두고 무관심을 가장한 체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야단을 치거나 개를 안아 무리하게 떼어놓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사람이 관심을 가졌다고 생각해 같은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 빈 깡통과 동전으로 소리 나는 도구를 만든다.

물건을 씹고 있는 것을 발견하면 개 가까이에 빈 펫트병이나 빈 깡통을 던져 놀라게 합니다.
개가 놀라 씹는 것을 중지하면 되는 것이므로 괜히 세게 두드리거나 개의 몸에 맞도록 던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이 경우에도 개에게 시선을 두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름을 부르거나 말을 걸어서도 안됩니다.
개를 보면서 깡통이나 펫트병을 던지면 '사람에게 공격 당했다.' '사람과의 대결'이라는 인 맞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사람이 반응을 보였다.' 혹은 '내게 관심을 가졌다'라고 기억해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한 일종의 게임으로 학습하고 이를 반복, 나중에는 일부러 물건을 씹는 습관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행동을 수정하려면 직접적인 방법보다 간접적으로 개에게 불쾌한 체험을 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면, 씹고 있는 가구를 움직여 이상한 소리를 내면 개는 그 소리에 깜짝 놀라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런 종류의 간접적인 자극을 반복해 경험함에 따라 개는 씹는 것을 불쾌한 일로 기억하게 돼 더 이상 씹지 않게 됩니다. 이 때의 주안점은 절대 개를 쳐다보지 말 것입니다.